☐ 한국여성벤처협회(회장 윤미옥)는 여성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“2023 민간협력 여성벤처·스타트업 육성”에 참여할 여성전문 창업기획자를 최종 선정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. ◦ 4개사 모집에 총 19개의 창업기획사(액셀러레이터)가 접수하였고, 중소벤처기업부 초격차 10대 기술*, 푸드 및 리테일 분야 여성창업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제시한 더인벤션랩을 비롯한 비스퀘어, 젠액시스, 한양대기술지주가 높은 평가를 받아 선정되었다. * 초격차 10대 기술 : ▲시스템반도체 ▲바이오·헬스 ▲미래 모빌리티 ▲친환경·에너지 ▲로봇 ▲빅데이터·AI ▲사이버보안·네트워크 ▲우주항공·해양 ▲차세대원전 ▲양자기술
☐ ’17~’21년 연평균 기술기반 업종 여성창업 증가율은 여성이 7.6%로 남성(3.0%) 보다 2배 이상 높다. 저출산․고령화 등 경제활동인구 감소에 따라 인적지원으로서 양질의 여성인력 활용은 국가경쟁력 확보 수단으로 정책적 지원 필요성이 꾸준히 제시되어 왔다. * 2030년대 국내 생산가능인구 연 52만명 감소 예측 (통계청, 장래인구특별추계, 2019) ☐ 이러한 취지에서 협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정부 예산 3.2억원을 투입하여 전문적 지원의 한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기술창업자의 성장통 해결을 지원하였고, ◦ 지난해 처음으로 2개 여성전문 창업기획자를 선정해 11개 기업을 지원한 결과 5개 여성벤처기업에 17억원의 민간투자를 이끌어 내는데 성공했으며 ◦ 이러한 성과가 올해 정부 지원금(3.2억원 → 7억원) 및 창업기획자 선정규모(2개사 → 4개사)를 확대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. ☐ 올해 역시 최종 선정된 운영기관은 여성친화제품 등 여성 특유의 감성과 특성이 반영된 혁신기술 기반 유망 여성 스타트업을 발굴하여 ◦ 기업 맞춤형 지원설계, 교육·멘토링, 사업화 자금 지원(평균 1천만원), 협력네트워크 등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를 고려한 특화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, 직접(초기)투자부터 연계(후속)투자까지 창업성공을 위한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. ☐ 윤미옥 회장은 “앞으로도 협회는 담대한 도전으로 최고의 성과를 만들어갈 기술기반 미래 여성기업을 발굴·육성해 여성 창업생태계의 변화를 이끌겠다”며 정부와 투자업계에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. |
☐ 한국여성벤처협회(회장 윤미옥)는 여성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“2023 민간협력 여성벤처·스타트업 육성”에 참여할 여성전문 창업기획자를 최종 선정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.
◦ 4개사 모집에 총 19개의 창업기획사(액셀러레이터)가 접수하였고, 중소벤처기업부 초격차 10대 기술*, 푸드 및 리테일 분야 여성창업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제시한 더인벤션랩을 비롯한 비스퀘어, 젠액시스, 한양대기술지주가 높은 평가를 받아 선정되었다.
* 초격차 10대 기술 : ▲시스템반도체 ▲바이오·헬스 ▲미래 모빌리티 ▲친환경·에너지 ▲로봇 ▲빅데이터·AI ▲사이버보안·네트워크 ▲우주항공·해양 ▲차세대원전 ▲양자기술
☐ ’17~’21년 연평균 기술기반 업종 여성창업 증가율은 여성이 7.6%로 남성(3.0%) 보다 2배 이상 높다. 저출산․고령화 등 경제활동인구 감소에 따라 인적지원으로서 양질의 여성인력 활용은 국가경쟁력 확보 수단으로 정책적 지원 필요성이 꾸준히 제시되어 왔다.
* 2030년대 국내 생산가능인구 연 52만명 감소 예측 (통계청, 장래인구특별추계, 2019)
☐ 이러한 취지에서 협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정부 예산 3.2억원을 투입하여 전문적 지원의 한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기술창업자의 성장통 해결을 지원하였고,
◦ 지난해 처음으로 2개 여성전문 창업기획자를 선정해 11개 기업을 지원한 결과 5개 여성벤처기업에 17억원의 민간투자를 이끌어 내는데 성공했으며
◦ 이러한 성과가 올해 정부 지원금(3.2억원 → 7억원) 및 창업기획자 선정규모(2개사 → 4개사)를 확대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.
☐ 올해 역시 최종 선정된 운영기관은 여성친화제품 등 여성 특유의 감성과 특성이 반영된 혁신기술 기반 유망 여성 스타트업을 발굴하여
◦ 기업 맞춤형 지원설계, 교육·멘토링, 사업화 자금 지원(평균 1천만원), 협력네트워크 등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를 고려한 특화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, 직접(초기)투자부터 연계(후속)투자까지 창업성공을 위한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.
☐ 윤미옥 회장은 “앞으로도 협회는 담대한 도전으로 최고의 성과를 만들어갈 기술기반 미래 여성기업을 발굴·육성해 여성 창업생태계의 변화를 이끌겠다”며 정부와 투자업계에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.
<참고> 여성벤처 특화 프로그램 주요 특징